추석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제 일주일도 안남았네요.
추석연휴 장거리로 가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장거리 주행전 필수적으로 체크해야되는 품목과 관리 및 복원할 수 있는 품목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자동차 장거리 주행전 체크해야 될 필수 항목은 3가지 입니다.
첫번째. 타이어 점검 및 공기압 체크
타이어는 차량 사고와 이어질 수 있기에 꼭 체크해야될 필수 항목입니다.
공기압과 타이어 체크를 하는 간단한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준비물은 100원짜리 동전 한개입니다.
타이어 상태는 100원짜리 동전을 이순신 장군 몸쪽으로 잡고, 머리쪽을 타이어 홈에 끼우는 방법입니다.
삿갓이 보이면 타이어를 교체 해야되고, 삿갓이 아직 홈에 들어가 있으면 괜찮은 상태입니다.
추가적으로 타이어 옆면에는 생산년도가 적혀있는데, 5년이상 된 타이어는 부식 및 변질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왠만하면 장거리 주행시 바꿔주는 것이 좋습니다. 공기압은 35~38정도 있으면 괜찮습니다..
두번째. 엔진 오일 및 냉각수 체크
냉각수는 엔진의 열을 식혀주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냉각수 통 옆면을 보고 L과 H라인을 보시면 됩니다.
L쪽에 가깝거나 밑으로 떨어져 있다면 가까운 카센타를 방문하여 보충하시고 엔진오일은 5000키로에 한번씩 교환하는 품목이니, 그전에 교했던 KM를 계산하여 교환하시면 됩니다.
세번째. 배터리!
자동차는 모든 부품에 전기를 사용하게 되있습니다.
심지어 엔진도 베터리가 없으면 굴러가지 않지요. 배터리 윗면에 보면 동그란 렌즈가 있는데, 그쪽을 들여다 봤을시, 녹색이면 정상, 노란색이나 검은색이 보이면 교체를 해줘야 됩니다.
고속도로 교통사고시 대처법에 대해서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네비게이션 업그레이트 받기
평상시 운전자들은 익숙한 도로를 주행하기 때문에 네비게이션 업그레이드를 미루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 자주 하는 업그레이트가 아니기때문에 업그레이드 방법을 모르는 경우도 많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도로가 꽉 막힐 위험이 있는 귀성길전에는 반드시 업그레이드를 해주셔야 됩니다.
신규 도로, 혹은 없어진 도로가 있을 경우 갑자기 당황 하실수 있기 때문입니다. 장거리 운행시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자칫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명절전에는 업그레이들 해주시길 바랍니다.
혹시라도 네이게이션 업그레이드가 어렵다면, 핸드폰에 앱을 다운받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 등화류 점검하기 (전조등, 안개등, 브레이크 등 점검)
명절기간이 되면 정체가 되기 때문에 늦은 밤이나 새벽에 출발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십니다
이럴 경우 전조등, 안개등, 브레이크등 이런 등화류쪽에 문제가 생기면 주행시 시야확보가 어려워지거나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하셔야 됩니다.
등화류는 시동을 켠 상태에서 차에서 내린 다음 각 부위에 불이 잘 켜지는지 간단하게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꼭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만약 켜지지 않는 곳이 있다면 꼭 교체하시기 바랍니다..
3. 안전삼각대 ,혹은 불꽃 신호기 구입하기
사고시 뒤에 오는 차량에게 사고가 났음을 알리기 위해 , 그리고 2차 사고의 방지를 위해 안전삼각대나 불꽃 신호기를 설치해야 됩니다. 고속도로 휴게소에서도 구입이 가능 하지만,
미리 구입하여 차량에 비치한 후, 귀성길 운행 하시길 바랍니다..
4. 전좌석 안전벨트 착용하기
장시간 운전을 하다보면 운전자 뿐만 아니라 동승한 가족들도 불편하다는 이유로 안전벨트를 풀어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사고는 언제, 어디서 어떻게 일어날지 아무도 알수 없기 때문에 꼭 착용하고 계셔야 합니다.
불미스러운 사고 발생시 안전띠 미착용으로 인한 부상의 정도는 착용시 대비 <<<3배이상 으로 크고
차 밖으로 튕겨져 나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안전벨트 착용시 사망률은 8퍼센트 정도를 나타내지만, 안전띠 미착용시 사망률은, 몸이 차 밖으로 튕겨 나갈 경우 40퍼센트에 달한다고 합니다.
소중한 가족의, 안전을 위해 부모님들께서는 수시로 아이들의 벨트를 확인해주시고, 좌석 안전벨트 착용은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꼭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5. 카시트 준비하기
2018년 9월부터 모든 도로 전좌석 안전벨트 착용과 함께, 카시트 장착 또한 의무화 되었습니다.
카시트 장착이 필요한 이유는 영우아나 어린이가 성인용 안전띠를 할 경우 카시트를 사용 할 때 보다 중상의 가능성이 5.5배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또, 아이를 무릎위에 앉혀 안고 타는 경우가 있는데, 이또한 사고 발생시 에어백의 팽창으로 인한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이경우 피해가 심각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뒷자석에 카시트를 장착하시고 운행하셔야 됩니다.
사고는 한 순간입니다.
그 누구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꼭 준비하기 바랍니다.
※ 제일 중요한 BEST!
졸음운전은 절대 NO!!
실내 환기, 충분한 휴식, 졸음쉼터 이용하기, 스트레칭
장거리 운전시 졸음이 몰려오게 되면 즉시 대책을 세워야 합니다.
전체 고속도로 교통사고의 20퍼센트가 졸음운전으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시속 100키로 주행시 1초의 졸음음운전은 60~100미터 거리를 자동차 혼자 주행한 것이나 다름 없기 때문에 위험천만한 일입니다.
고속도로 주행중 졸음운전은 음주운전 보다 더 위험하다는 것을 알아야됩니다. 또한 동승자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합니다.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해주고, 가장 가까운 졸음 쉼터나 휴게소에 들러 스트레칭을 하거나 가벼운 체조로 뭉친 근육과 피로감을 풀어주고,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나 음료의 도움을 받아도 좋습니다.
블랙박스 점검 받기
차량 운전 사고는 언제 어디서 발생 할지 모르기 때문에 사고상황을 증명 해줄수 있는 블랙박스이 역할은 굉장히 중요해집니다.
평소에는 작동여부만 확인하셧다면 장거리 귀성길 전에는 영상 메모리를 확인하시고, 녹화가 정상적으로 잘 되고 있는지 사전점검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고속도로에서 사고가 났다면 어떻게 대처??
첫번째 비상등을 켜고 차량은 갓길로, 운전자는 가드레일 바깥에서 대피하기!!!!
만약 갓길로 이동이 여의치 않으면
비상등을 키고, 안전삼각대(안전삼각대 설치는 차량으루부터 100미터 뒤쪽에 설치하기)
와 불꽃신호기(불꽃신호기는 200미터 뒤쪽에 설치하기) 등을 설치하여 뒤에서 오는 차량에게 상황을 알려줘야합니다.
두번째, 신고하기!!!
부상자가 있다면 우선 119구에 신고를 합니다.
경찰서(112)와 한국도로공사(1588-2504)에 신고합니다.
그리고 보험사에 연락합니다.
보험사 콜센터 연락처 | |
삼성화재 | 1588-5114 |
현대해상 | 1588-5656 |
LIG보험 | 1544-0114 |
동부화재 | 1588-0100 |
메리츠화재 | 1566-7711 |
한화 손해보험 | 1566-8000 |
흥국화재 | 1688-1688 |
롯데손해보험 | 1588-3344 |
그린화재 | 1588-5959 |
※ 신고시 나의 위치를 알리는 방법
도로공사 콜센터(1588-2504)를 이용하면 GPS를 통해 확인 가능!
한국 도로공사 무상 긴급 견인 서비스 신청
(1588-2504으로 통화 OR 도로이용불편 척척해결서비스 앱) 이용 → 사용자 정보 등록에 이름 기재(전화번호는 자동으로 뜸) →제 3자 정보 이용 동의 →현위치 사용 동의 → 오른쪽 상단의 견인을 누르면 견인서비스 신청이 가능합니다.
- 대상차량 : 일반 승용차, 16인 이하 승합차, 1.4톤 이하 화물차
- 비용 : 안전지대(다음 휴게소, 도로공사 영업소, 졸음쉼터)까지는 도로공사 부담.
안전지대 후는 운전자 부담 또는 보험사 견인서비스 이용
- 보험사를 부른 경우, 해당보험사의 견인차가 맞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해당 보험사와 관계없는 견인차는 바가지 요금 청구 주의!!)
이상으로 명절 귀성길 장거리 운전 준비 및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미리미리 준비하시어 안전한 명절이 되시길 바랍니다!
'생활(life) > 이것저것(this and tha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10%이상 폭등한 이유 (0) | 2021.10.02 |
---|---|
오뚜기 진라면 30여년간 60억 봉지 팔렸다 (0) | 2020.11.12 |
오뚜기 신제품 "열려라 참깨라면' 출시!! 호불호? (2) | 2020.11.11 |
명절 귀성길,귀경길 안전운전 및 당뇨환자 주의 사항!! (0) | 2020.10.03 |